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애플 시리(Siri)로 본 접근성의 미래


지난번 컬럼에서 언급한대로 접근성(Accessibility)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어린이로부터 노인까지 편안한 자세로 세탁물을 꺼낼수 있도록 세탁기 입구를 경사형으로 설계한 일본 마쓰시다의 드럼 세탁기나 흔히들 마시는 캔 맥주의 병따게 주변에 맥주라는 뜻의 점자표기가 되어 있는 것 등이 그 예이다.
조금 더 크게 보면 의료 업계에서 메카라고 불리는 미국 미네소타 주의 Mayo Clinic을 예로 들수도 있다.
시골 한복판에 있는 Mayo 병원은 5만명이 근무하는 병원계의 세계적인 메카로 불린다. 메가로 불리는 이유는 규모 때문만은 아니다. 의사가 환자를 보는 방식도 혁신적이다.
환자 한명을 두고 여러명의 의사가 동시에 진료하여 의사들이 서로 토론하며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스타일인데, 환자가 필요한 의사를 여러번 찾아가는 방식에서 의사들이 환자를 찾아가는 방법으로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필자는 얼마전 오바마 행정부의 접근성 담당 실무자인 Phillip Jenkins를 만난 적이 있는데, 그는 IBM 출신으로 웹접근성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그가 웹접근성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든 처음 든 예가 바로 아이폰에 적용된 시리(Siri)다.
시각 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게 되면 통상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 – iOS의 voice over 기능과 같이 웹페이지를 읽어주는 프로그램)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웹이 접근성 규격을 준수하지 않으면 당연히 스크린 리더가 웹페이지를 제대로 읽어 줄 수 없다. 예를 들면 자동차 이미지를 웹페이지에 삽입해 놓고 이것이 자동차라는 description을 제대로 달아놓지 않으면, 스크린 리더는 이것을 장애인에게 제대로 읽어줄 수가 없다.
이러한 웹접근성은 꼭 장애인들만을 위해서 필요한 것일까?
아니라고 본다. Phillip Jenkins와 토론하면서도 느꼈지만, 아이폰의 시리와 같이 모든 웹페이지를 일반인을 위해서 읽어주는 시대가 오고 있다. 그러면 당연히 중요해지는 것은 웹페이지의 표준 준수여부다. 물론 기술이 더 발달해서 눈이 보듯이 이해하고 설명해주는 소프트웨어가 언젠가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다음 영상은 애플 시리에 음성인식 솔루션을 공급한 뉘앙스사의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음성인식을 사용하는 데모다.
구글은 올해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프로젝트 글래스를 내년에 상용화 목표로 개발중이다. 프로젝트 글래스의 핵심 인터페이스는 무엇일까? 당연히 음성이다.
마이크로소프트도 Xbox를 통해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톰 크루즈가 컴퓨터를 다룰때 사용하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센서 글러브를 이용한 제스쳐와 음성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있다.
업계는 조만간 시계 형태의 스마트폰이 대중화될 것으로도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시스템의 핵심은 음성이며 음성이 단순히 웹페이지의 질의를 대신하는 것에서 우리의 질문에 대한 대답까지 텍스트가 아닌 음성이 될 날이 얼마 멀지 않았다. 현재 웹접근성이 장애인만을 위한 것이 아닌 이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우물 정수기 사용기 - 단점

일전에 정수기에 대해서 조사하고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계획과는 달리 여러 이유로 한우물 정수기를 쓰게 되었다. 한우물 정수기는 오래전부터 들었던 제품인데 중공사막식 필터를 사용하며, 전기 분해로 약알칼리수를 만드는 제품이다. 이런 종류는 대표적으로 암웨이의 이스프링 정수기나 한우물 등이 시중에서 유일하게 유통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우물 정수기를 쓰는 지인들도 있고, 최근 실험결과에서도 약 알칼리수가 몸에 좋다는 것은 방송에서도 익히 알려져 있어서 주저함 없이 사용하기로 하였다. 심지어 모 소주회사도 약알칼리수를 사용해서 술맛이 좋다고 선전하기도 한다. 그만큼 믿음도 갔다. 하지만 의외로 문제가 발생했다. 우리 집은 서울에서도 많은 인구가 모여사는 곳으로, 지금 있는 아파트만도 가구수가 천가구가 넘는다. 시음용으로 한우물을 신청해보고 가족이 동의하여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시음했던 물맛과는 정수기에서 나오는 물맛이 전혀 달랐다. 그리고 약 일주일간 물을 마시면 비릿한 맛과 넘길때 느껴지는 껄끄러움이 있었고 며칠간 가족들이 공통적으로 배가 아팠다. 때문에 한우물에 전화로 몇번 이야기도 했지만 돌아오는 답은 시음수와 실제 물 맛은 다를수 있다는 답 뿐이었다. 약간 황당했다. 시음수와 다른 물맛이라면 시음수를 보내는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어째든 다시 부탁드려서 한우물 직원분이 직접와서 정수기 물을 채취하여 가서 조사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약 일주일 후 받은 답은 내가 사는 아파트의 수도물이 특이하게도 칼슘 성분이 보통 수돗물보다 배나 많아서 정수기에서 그런 성분때문에 문제가 되었다는 답이다. 즉 원수인 수도물에 칼슘이 과다한데 정수기에서는 칼슘이 과다하거나 한 경우에 거르지 못한다는 말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추가로 양이온수지라는 필터를 추가로 달라고 권하였다. 이후 몇번의 이야기 끝에 원하면 환불을 받기로 하였다. 하지만 수천가구가 밀집해 있

영화 로보캅 2014에서

로보캅은 예전에 참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이다. 특히 대학시절에 영화 평론에 대한 특강에서 영화 보는 법에 대해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로보캅 I, II, III 까지 나왔는데 시리즈를 거듭할 수록 로보캅의 적이 달라지는데 일본의 사무라이 무사 로봇이 나와서 로보캅을 곤경에 빠트리는 것이 3편에 나온걸로 기억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미국인들이 당시 소니를 중심으로 거세게 미국 시장을 점령하고 있던 강해만 가는 일본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다는 교수님의 해설을 들은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번 로보캅 2014는 인기를 끄는데는 실패했고, 더군다가 막판에는 겨울왕국에 묻혀서 존재감도 거의 없었다. 스토리 뼈대도 변한것이 없다. 어떻게 보면 전작의 리메이크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거의 죽다가 기계인간으로 되 살아난 경찰 알렉스 머피가 자신이 여전히 인간이라고 주장하다가, 데넷 박사가 그의 남아 있는 모습을 수트를 하나하나 분해하면서 보여주자 머피는 눈물을 흘리는데 이 대목에서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영화는 액션이 아니라 어떻게 보면 철학문제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인간으로서 남아 있는 모습을 보면서 닭똥같은 눈물을 흘리는 머피의 모습이 보이는가? 확실히 로보캅은 액션영화이긴 하지만 사실은 다른 문제를 건드리고 있다. 인간 정체성의 문제이다. 이제 웨어러블 컴퓨팅이다 모다 하면서 이제 인간이 스스로 기계를 입는 시대가 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인공 신장 등 장기를 만들고 있고, 또 한편에서는 뇌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새로운 기기들 개발에 한창이다. 십년 이십년 후에 머피와 같은 사람이 탄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영화는 항상 시대를 한발 앞서 가니까. 나의 정체성은 내가 갖고 있는 육체에서 비롯될 것인가? 아니면 나의 기억에서 비롯될 것인가? 아니면 보이지 않는 나의 영혼인가?

일명 노인학대 - 윈도우 8, 윈도우 10과 NC110 넷북으로 잘 살아보기

요새 나에게 소소하게 즐거움을 주는게 있다. 바로 4년이 넘게 쓰고 있는 넷북이다. NC110 이라고 이젠 보이지도 않는 넷북인데 아톰 CPU에 하드는 200기가로 구매 당시 30만원이 안되는 가격에 산것 같다. 한때는 팔려고 했지만 중고나라에서도 팔리지가 않아 그냥 방치했다가 다시써보니 만족감이 상당하다. 왜 이런일이 벌어질까? 원래 PC는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과거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 그리고 PC 제조사들은 소위 말하는 스펙 장사로 떼돈을 벌었다. 윈도우 버전이 올라갈수록 특히 윈도우 95부터 심했다. 98, 2000, XP 윈도우 버전이 올라갈수록 CPU와 램 요구는 높아져갔고 사실 윈도우 95나 윈도우 10이나 일반인들이 하는 일은 인터넷과 오피스 문서 작성이 대부분인데도 업그레이드를 위해서 수백만원을 써야했다. 그런데 아이폰을 시작으로 스마트폰이 세상을 휩쓸면서 데이터는 클라우드에 저장되는 것이 대세가 되면서 PC나 스마트폰은 인터넷으로 연결만되 있으면 되는 세상이 오자 PC는 데이터의 저장소라기 보다는 어찌보면 인터넷을 연결하는 단말기의 역할만 남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마이크로소프트도 어쩔수 없는지 윈도우 8부터 모바일 운영체제로도 통합되면서 윈도우가 확실하게 가벼워졌다. 덕택에 이 오래된 넷북에 윈도우 8, 혹은 윈도우 10을 깔아도 날아간다. 책쓰거나 문서 작업에 아무 불편함이 없는 정도가 된 것이다. 물론 여기서 약간의 팁이 있다. 브라우저는 가벼운 불여우(파이어팍스)를 쓰고, 불필요한 프로그램들은 쓰지 않는다. 드랍박스에 문서를 담아 다니니 오래된 놋북도 다시 사용을 생각해 볼만한 시대가 온 것 같다. 도난의 걱정도 적고, 가볍고, 아톰 CPU라 배터리도 하루종일간다. 이만하면 여행갈때 가볍게 까페에서 친구를 기다릴 때 책 한권 들고가는 기분으로 아주 쓸만하다. 이 넷북은 2년전엔 45일간의 유럽 여행에서 사진의 든든한 백업 역할도 했다. 그러고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