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갤럭시노트 10.1을 얕볼 수 없는 이유


지난해 말 우리나라 교육과학기술부는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핵심은 스마트 교육인데 말 그대로 아이폰으로 촉발된 일상의 전방위적인 변화를 교육계에도 받아들이자는 것이다. 스마트 교육의 핵심은 바로 디지털 교과서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3년 후인 2015년부터 모든 초중등학교에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할 예정이다.
기억할지 모르겠지만 올해 초 애플이 ‘아이북스2(iBooks 2.0)’를 내놓고 디지털 교과서 시장에 뛰어들겠다고 발표했다. 애플이나 구글이나 공통점이 있다면 한번 내놓는 서비스마다 업계 아니 지구를 뒤흔드는 파괴력 있는 서비스를 내 놓으니,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애플은 이번에는 아이북스2를 통해 종이로 된 교과서를 디지털화 하는 프로젝트의 출발을 알렸고, OS X 기반 개인용 전자출판 소프트웨어인 “iBooks Author”를 무료로 배포하였다. 이를 통해 제작한 출판물을 iBookstore 또는 iTunes U를 통해 판매하거나 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애플은 컨텐츠 제작부터 출판, 배포까지 모든 것이 가능한 또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한 셈이다.
필자도 몇달 전에 무료로 풀린 교과서 하나를 아이패드에 다운받아 보았는데, 대학교 때 두꺼운 원서를 들고 다니느라 고생한 생각이 절로 났다. 몇 페이지 넘겨보니, 책을 보는 듯한 배치와 함께 페이지 안에 저자의 설명 등 동영상을 삽입함으로써 내용이 더욱 실감나게 다가오게 만들어 감탄한 기억이 난다.
반면에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부실 e교과서다, 쓰레기통에나 들어가는 e-교과서다 등 혈세를 낭비하는 행정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사실 2010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한 사업 중 하나인 이 프로젝트는 서책형 교과서를 그대로 CD로 옮긴 것이었고, 이로 인해 교사와 학생들로부터 완전히 외면당하고 있었다. 이와 연계하여 앞으로 2조 2천억을 투입할 디지털 교과서 정책에 대한 우려들을 표방하면서 역시 애플의 ‘아이북스2’를 본받아야 한다는 의견들도 쏟아졌다.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아니 이제는 세계 기업에서 유일하게 애플과 맞짱을 뜨고 있는 삼성전자는 지난 3월 ‘러닝 허브(Learning Hub)’를 발표하였고 16일에는 새로운 갤럭시 노트 10.1을 선보였다. 국내에 선보이는 ‘갤럭시 노트 10.1′은 WiFi 모델과 3G 모델(SKT, KT)로 가격은 3G 기준으로 80만원 대이다.한편, 삼성전자는 국내 출시 하루 전인 15일(현지시간) 미국과 영국에서도 현지 미디어와 소비자들을 초청해 대규모 론칭 행사를 갖고 ‘갤럭시 노트 10.1′ 출시를 알렸다.
솔직히 갤럭시 노트 10.1이 일반 소비자에게 얼마나 어필할지는 필자 자신도 잘 모르겠다. 가격도 비싼 편이다. 하드웨어에는 밀리지 않을지 몰라도 아이패드가 갖고 있는 강력한 컨텐츠 생태계와 사용성에 비하면 여전히 많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국내 디지털 교과서 시장만 따져봐도 정부가 투입할 예산만 2조2천억이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노트 10.1을 출시하면서 특히 다음과 같이 러닝허브 서비스를 강조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 다음 언론 발표 기사를 눈여겨 보자.
‘러닝허브’ 서비스로 ‘교과서+노트+펜’ 결합한 최적의 학습경험 제공
‘삼성전자는 국내 ‘갤럭시 노트 10.1′ 출시와 함께 러닝허브, 리더스허브, 비디오허브, 게임허브 등 삼성전자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탑재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갤럭시 전용 교육 포털인 러닝허브는 국내 초,중,고의 검정 교과서 450여권을 제공해 학생들은 ‘갤럭시 노트 10.1′에서교과서, 펜, 노트가 하나로 결합된 새로운 학습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러닝허브는 전자교과서(eTextbook), 동영상 강의, 인터렉티브 참고서 등 각 연령별로 특화된 28,000여 개의 유ㆍ무료 컨텐츠와 학습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연령과 환경의 제약없이 누구나 효율적인 자기 주도 학습을 할 수 있다.’
정리하면 갤럭시 노트 10.1은 교육시장을 주목하였고, 기존의 아이패드가 컨텐츠를 소비하는데 집중하는 기기였다면,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펜을 이용하여 노트를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컨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볼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로 공부하면서 펜으로 노트하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하고 숙제를 푸는 장면을 상상해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삼성의 새로운 시도가 당장 애플을 뛰어 넘어서기는 어려워 보인다. 오늘자 뉴욕 타임즈는 갤럭시 노트 10.1을 지나치게 모든 기능을 한 제품에 담으려고 했다고 혹평하였지만, 최소한 애플과 차별화 하는데는 성공한 것 같다. 그리고 또 한가지 갤럭시 노트 10.1의 출시는 출판과 서적 그리고 교육 시장에 거대한 변화의 물결이 오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또다른 신호탄이다. 그것도 ‘지금’ 말이다.
그 기회를 IT 개발자 입장에서 또는 기획자 또는 컨텐츠 공급업자의 입장에서 잡는 것은 본인의 몫일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우물 정수기 사용기 - 단점

일전에 정수기에 대해서 조사하고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계획과는 달리 여러 이유로 한우물 정수기를 쓰게 되었다. 한우물 정수기는 오래전부터 들었던 제품인데 중공사막식 필터를 사용하며, 전기 분해로 약알칼리수를 만드는 제품이다. 이런 종류는 대표적으로 암웨이의 이스프링 정수기나 한우물 등이 시중에서 유일하게 유통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우물 정수기를 쓰는 지인들도 있고, 최근 실험결과에서도 약 알칼리수가 몸에 좋다는 것은 방송에서도 익히 알려져 있어서 주저함 없이 사용하기로 하였다. 심지어 모 소주회사도 약알칼리수를 사용해서 술맛이 좋다고 선전하기도 한다. 그만큼 믿음도 갔다. 하지만 의외로 문제가 발생했다. 우리 집은 서울에서도 많은 인구가 모여사는 곳으로, 지금 있는 아파트만도 가구수가 천가구가 넘는다. 시음용으로 한우물을 신청해보고 가족이 동의하여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시음했던 물맛과는 정수기에서 나오는 물맛이 전혀 달랐다. 그리고 약 일주일간 물을 마시면 비릿한 맛과 넘길때 느껴지는 껄끄러움이 있었고 며칠간 가족들이 공통적으로 배가 아팠다. 때문에 한우물에 전화로 몇번 이야기도 했지만 돌아오는 답은 시음수와 실제 물 맛은 다를수 있다는 답 뿐이었다. 약간 황당했다. 시음수와 다른 물맛이라면 시음수를 보내는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어째든 다시 부탁드려서 한우물 직원분이 직접와서 정수기 물을 채취하여 가서 조사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약 일주일 후 받은 답은 내가 사는 아파트의 수도물이 특이하게도 칼슘 성분이 보통 수돗물보다 배나 많아서 정수기에서 그런 성분때문에 문제가 되었다는 답이다. 즉 원수인 수도물에 칼슘이 과다한데 정수기에서는 칼슘이 과다하거나 한 경우에 거르지 못한다는 말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추가로 양이온수지라는 필터를 추가로 달라고 권하였다. 이후 몇번의 이야기 끝에 원하면 환불을 받기로 하였다. 하지만 수천가구가 밀집해 있

영화 로보캅 2014에서

로보캅은 예전에 참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이다. 특히 대학시절에 영화 평론에 대한 특강에서 영화 보는 법에 대해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로보캅 I, II, III 까지 나왔는데 시리즈를 거듭할 수록 로보캅의 적이 달라지는데 일본의 사무라이 무사 로봇이 나와서 로보캅을 곤경에 빠트리는 것이 3편에 나온걸로 기억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미국인들이 당시 소니를 중심으로 거세게 미국 시장을 점령하고 있던 강해만 가는 일본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다는 교수님의 해설을 들은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번 로보캅 2014는 인기를 끄는데는 실패했고, 더군다가 막판에는 겨울왕국에 묻혀서 존재감도 거의 없었다. 스토리 뼈대도 변한것이 없다. 어떻게 보면 전작의 리메이크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거의 죽다가 기계인간으로 되 살아난 경찰 알렉스 머피가 자신이 여전히 인간이라고 주장하다가, 데넷 박사가 그의 남아 있는 모습을 수트를 하나하나 분해하면서 보여주자 머피는 눈물을 흘리는데 이 대목에서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영화는 액션이 아니라 어떻게 보면 철학문제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인간으로서 남아 있는 모습을 보면서 닭똥같은 눈물을 흘리는 머피의 모습이 보이는가? 확실히 로보캅은 액션영화이긴 하지만 사실은 다른 문제를 건드리고 있다. 인간 정체성의 문제이다. 이제 웨어러블 컴퓨팅이다 모다 하면서 이제 인간이 스스로 기계를 입는 시대가 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인공 신장 등 장기를 만들고 있고, 또 한편에서는 뇌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새로운 기기들 개발에 한창이다. 십년 이십년 후에 머피와 같은 사람이 탄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영화는 항상 시대를 한발 앞서 가니까. 나의 정체성은 내가 갖고 있는 육체에서 비롯될 것인가? 아니면 나의 기억에서 비롯될 것인가? 아니면 보이지 않는 나의 영혼인가?

일명 노인학대 - 윈도우 8, 윈도우 10과 NC110 넷북으로 잘 살아보기

요새 나에게 소소하게 즐거움을 주는게 있다. 바로 4년이 넘게 쓰고 있는 넷북이다. NC110 이라고 이젠 보이지도 않는 넷북인데 아톰 CPU에 하드는 200기가로 구매 당시 30만원이 안되는 가격에 산것 같다. 한때는 팔려고 했지만 중고나라에서도 팔리지가 않아 그냥 방치했다가 다시써보니 만족감이 상당하다. 왜 이런일이 벌어질까? 원래 PC는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과거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 그리고 PC 제조사들은 소위 말하는 스펙 장사로 떼돈을 벌었다. 윈도우 버전이 올라갈수록 특히 윈도우 95부터 심했다. 98, 2000, XP 윈도우 버전이 올라갈수록 CPU와 램 요구는 높아져갔고 사실 윈도우 95나 윈도우 10이나 일반인들이 하는 일은 인터넷과 오피스 문서 작성이 대부분인데도 업그레이드를 위해서 수백만원을 써야했다. 그런데 아이폰을 시작으로 스마트폰이 세상을 휩쓸면서 데이터는 클라우드에 저장되는 것이 대세가 되면서 PC나 스마트폰은 인터넷으로 연결만되 있으면 되는 세상이 오자 PC는 데이터의 저장소라기 보다는 어찌보면 인터넷을 연결하는 단말기의 역할만 남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마이크로소프트도 어쩔수 없는지 윈도우 8부터 모바일 운영체제로도 통합되면서 윈도우가 확실하게 가벼워졌다. 덕택에 이 오래된 넷북에 윈도우 8, 혹은 윈도우 10을 깔아도 날아간다. 책쓰거나 문서 작업에 아무 불편함이 없는 정도가 된 것이다. 물론 여기서 약간의 팁이 있다. 브라우저는 가벼운 불여우(파이어팍스)를 쓰고, 불필요한 프로그램들은 쓰지 않는다. 드랍박스에 문서를 담아 다니니 오래된 놋북도 다시 사용을 생각해 볼만한 시대가 온 것 같다. 도난의 걱정도 적고, 가볍고, 아톰 CPU라 배터리도 하루종일간다. 이만하면 여행갈때 가볍게 까페에서 친구를 기다릴 때 책 한권 들고가는 기분으로 아주 쓸만하다. 이 넷북은 2년전엔 45일간의 유럽 여행에서 사진의 든든한 백업 역할도 했다. 그러고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