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을 해 보면 대부분의 직장인들의 소원 중에 하나가 월세받는 것이다.
건물을 산다든가 아니면 작은 원룸이라도 하나 장만해서 임대를 해서 언제 짤릴지 모르는 직장 생활의 불안감을 월세로 해결할려고 하는 심리일 것이다.
그래서 길거리의 목 좋은 빌딩은 값이 치솟고 월세도 천정을 모르고 오른다.
그런 것은 기업도 예외가 아니다.
기업들도 좋은 자리를 잡아서 월세를 받고 싶어한다.
물론 기업들이 받는 월세는 건물 임대료와 같은 물리적인 것도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플랫폼을 지향한다.
기업은 시장바닥에 깔고 앉아서 장사를 하기보다는 시장에서 소매점들에게 좌판을 나눠주고 세금을 받고 싶어하는 것이다.(어찌보면 기업과 정부는 많이 닮았다.)
그러한 모습이 인터넷으로 옮겨가면서 플랫폼이라는 말로 나타났다.
구글은 검색이라는 플랫폼 안에서 모든 광고주들을 잡아두고 싶어한다.
구글 검색은 키워드 별로 광고주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잘만하면 소비자에게는 무료 서비스로 생색을 내고 돈은 기업에서 받는 탄탄한 비즈니스 모델을 오랫동안 유지가 가능하다.
구글에게는 강력한 검색 기술로 무장한 튼튼한 플랫폼이 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도 비슷하다.
광고 대상의 나이나 직업, 성별 거주위치 등을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페이스북은 어떤 매체보다 타겟 광고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페이스북은 자사의 거대한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을 잘만 운영한다면 구글과 동일 기업들에게서 세금을 거둘수 있다. 구글이나 페이스북에게서 리테일러나 일반 기업들은 시장의 좌판에서 생선을 파는 아주머니와 동급이다.
그들에게서 세금을 받으면 그만이다.
얼마전 카카오톡이 모바일 상품권을 직접 운영하겠다는 발표 역시 안정적인 매출과 세금을 지향하는 기업의 본능적인 모습이라고 하겠다.
이런 모습은 하드웨어 제조 기업에서도 나타난다.
국내 굴지의 전자, 자동차 등의 기업들을 생각해보자.
이곳도 생존 위기에 시달리면서 살얼음판을 걷는 삶을 살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통상 제품 하나에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만가지 부품들이 들어가는데 이 부품들을 다 만드는 회사는 없다.
역설적으로 잘 팔리거나 시장에서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소비재나 공산재를 만들 수 있다면 이 기업 역시 나름대로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그러면 이런 제조 기업은 어디서 세금을 징수할까?
간단하다. 바로 자사에 부품을 제공하는 협력사가 그 대상일 것이다.
협력사의 부품 공급 가격을 협상하는데 갑의 위치에 있으면서 시장의 수많은 협력사끼리 경쟁시키면서 그 가운데 세금을 받는다.
이것은 아무리 공정한 거래 어쩌고 해고 근본적으로는 막을 도리가 없다.
누구든 갑의 위치에 있으면 거의 모두가 그렇게 되니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요는 플랫폼을 만들든 건물주가 되든 세금을 거두고 싶어하는 것은 인간이 갖고 있는 본성이라 하겠다.
Edited by 최규헌
건물을 산다든가 아니면 작은 원룸이라도 하나 장만해서 임대를 해서 언제 짤릴지 모르는 직장 생활의 불안감을 월세로 해결할려고 하는 심리일 것이다.
그래서 길거리의 목 좋은 빌딩은 값이 치솟고 월세도 천정을 모르고 오른다.
그런 것은 기업도 예외가 아니다.
기업들도 좋은 자리를 잡아서 월세를 받고 싶어한다.
물론 기업들이 받는 월세는 건물 임대료와 같은 물리적인 것도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플랫폼을 지향한다.
기업은 시장바닥에 깔고 앉아서 장사를 하기보다는 시장에서 소매점들에게 좌판을 나눠주고 세금을 받고 싶어하는 것이다.(어찌보면 기업과 정부는 많이 닮았다.)
그러한 모습이 인터넷으로 옮겨가면서 플랫폼이라는 말로 나타났다.
구글은 검색이라는 플랫폼 안에서 모든 광고주들을 잡아두고 싶어한다.
구글 검색은 키워드 별로 광고주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잘만하면 소비자에게는 무료 서비스로 생색을 내고 돈은 기업에서 받는 탄탄한 비즈니스 모델을 오랫동안 유지가 가능하다.
구글에게는 강력한 검색 기술로 무장한 튼튼한 플랫폼이 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도 비슷하다.
광고 대상의 나이나 직업, 성별 거주위치 등을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페이스북은 어떤 매체보다 타겟 광고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페이스북은 자사의 거대한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을 잘만 운영한다면 구글과 동일 기업들에게서 세금을 거둘수 있다. 구글이나 페이스북에게서 리테일러나 일반 기업들은 시장의 좌판에서 생선을 파는 아주머니와 동급이다.
그들에게서 세금을 받으면 그만이다.
[작년에 갔던 마드리드의 시장.. 사실 여긴 좀 럭셔리하다]
얼마전 카카오톡이 모바일 상품권을 직접 운영하겠다는 발표 역시 안정적인 매출과 세금을 지향하는 기업의 본능적인 모습이라고 하겠다.
이런 모습은 하드웨어 제조 기업에서도 나타난다.
국내 굴지의 전자, 자동차 등의 기업들을 생각해보자.
이곳도 생존 위기에 시달리면서 살얼음판을 걷는 삶을 살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통상 제품 하나에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만가지 부품들이 들어가는데 이 부품들을 다 만드는 회사는 없다.
역설적으로 잘 팔리거나 시장에서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소비재나 공산재를 만들 수 있다면 이 기업 역시 나름대로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그러면 이런 제조 기업은 어디서 세금을 징수할까?
간단하다. 바로 자사에 부품을 제공하는 협력사가 그 대상일 것이다.
협력사의 부품 공급 가격을 협상하는데 갑의 위치에 있으면서 시장의 수많은 협력사끼리 경쟁시키면서 그 가운데 세금을 받는다.
이것은 아무리 공정한 거래 어쩌고 해고 근본적으로는 막을 도리가 없다.
누구든 갑의 위치에 있으면 거의 모두가 그렇게 되니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요는 플랫폼을 만들든 건물주가 되든 세금을 거두고 싶어하는 것은 인간이 갖고 있는 본성이라 하겠다.
Edited by 최규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