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빅데이터 시대에 수학자가 뜬다고?

요새 신문기사에 빅데이터와 함께 수학자가 유망한 직종이라고 난리다.
데이터가 많아지면서 이 데이터에 대해서 수학을 도입해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이를 통해서 가치를 얻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수학자가 뜬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미국에서는 수학자가 최고 대우 받는 직업으로 뜬다는데 우리나라도 과연 수학만 잘 하면 그렇게 될까?

이 말은 좀더 정확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일명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ata Scientist)라고도 하는 이런 빅데이터 관련 직종은 요새 새로 주목을 받기는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전혀 새로운 직종은 아니다.
과거에도 마케팅이나 기획 등의 분야에서 데이터를 만지고 이를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는 사람들이 항상 있어왔다.
이런 이들에게는 수학적인 지식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업무에 대한 이해도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이마트에서 팔리는 물건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고객의 성향을 예측할려면 단순한 수학적인 방정식이 아니라, 성별, 연령별, 혹은 나이나 기호, 날씨, 그날의 특징 등 수십가지 변수 중에서 유의미한 것을 찾아내야 하는데 이럴려면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몇십 테라가 넘는 고객 데이터에서 수백가지 변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뽑는데 사람이 데이터를 해석하는 머리를 쓰지 않는다면, 그냥 슈퍼 컴퓨터에 던져 넣고 며칠 몇달 혹은 몇십년이 걸리든 유의민한 결과를 기다리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수학만 잘해서 먹고 사는 방법은 따로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금융상품, 파생상품 등에 종사하는 수학도들과 또 하나는 알고리즘 개발에 필요한 수학 인력이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는 해외에 수십개의 연구소가 있는데, 그 중에 러시아나 카자흐스탄 등 구 소련 국가에 꽤 많은 연구소가 있는 것으로 안다.

그 연구소에는 수학에 천재적인 재능을 보이는 인재들이 많은데 이들은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새로운 알고리즘 구현 등에 놀라운 성과를 보인다고 한다.

한마디로 수학으로 먹고 살려면 수학에 천재이든가 아니면 수학적인 논리력과 사고력을 가지고 데이터를 이해할 줄 아는 사람이 필요한 시대다.

무슨 미적분이나 수학 문제 잘 푸는 사람이 출세하는 세상이 아니다.
그런것 이미 엑셀이나 간단한 통계 패키지만 돌려도 결과가 나오는 세상이 된지 이미 오래다.

신문에서 떠드는 단편적인 뉴스만 보면 가끔 이건 아니다 싶은 기사가 있는데 그 중에 수학자에 대한 기사 역시 오해의 소지가 많은것 같아 끄적여 보았다.

수학자다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 방식과 함께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있고 데이터를 통해서 새로운 가치를 뽑아낼 줄 아는 사람이 필요한 세상이다.

그냥 수학문제 기계적으로 푸는 것 말고 말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우물 정수기 사용기 - 단점

일전에 정수기에 대해서 조사하고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계획과는 달리 여러 이유로 한우물 정수기를 쓰게 되었다. 한우물 정수기는 오래전부터 들었던 제품인데 중공사막식 필터를 사용하며, 전기 분해로 약알칼리수를 만드는 제품이다. 이런 종류는 대표적으로 암웨이의 이스프링 정수기나 한우물 등이 시중에서 유일하게 유통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우물 정수기를 쓰는 지인들도 있고, 최근 실험결과에서도 약 알칼리수가 몸에 좋다는 것은 방송에서도 익히 알려져 있어서 주저함 없이 사용하기로 하였다. 심지어 모 소주회사도 약알칼리수를 사용해서 술맛이 좋다고 선전하기도 한다. 그만큼 믿음도 갔다. 하지만 의외로 문제가 발생했다. 우리 집은 서울에서도 많은 인구가 모여사는 곳으로, 지금 있는 아파트만도 가구수가 천가구가 넘는다. 시음용으로 한우물을 신청해보고 가족이 동의하여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시음했던 물맛과는 정수기에서 나오는 물맛이 전혀 달랐다. 그리고 약 일주일간 물을 마시면 비릿한 맛과 넘길때 느껴지는 껄끄러움이 있었고 며칠간 가족들이 공통적으로 배가 아팠다. 때문에 한우물에 전화로 몇번 이야기도 했지만 돌아오는 답은 시음수와 실제 물 맛은 다를수 있다는 답 뿐이었다. 약간 황당했다. 시음수와 다른 물맛이라면 시음수를 보내는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어째든 다시 부탁드려서 한우물 직원분이 직접와서 정수기 물을 채취하여 가서 조사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약 일주일 후 받은 답은 내가 사는 아파트의 수도물이 특이하게도 칼슘 성분이 보통 수돗물보다 배나 많아서 정수기에서 그런 성분때문에 문제가 되었다는 답이다. 즉 원수인 수도물에 칼슘이 과다한데 정수기에서는 칼슘이 과다하거나 한 경우에 거르지 못한다는 말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추가로 양이온수지라는 필터를 추가로 달라고 권하였다. 이후 몇번의 이야기 끝에 원하면 환불을 받기로 하였다. 하지만 수천가구가 밀집해 있...

영화 로보캅 2014에서

로보캅은 예전에 참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이다. 특히 대학시절에 영화 평론에 대한 특강에서 영화 보는 법에 대해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로보캅 I, II, III 까지 나왔는데 시리즈를 거듭할 수록 로보캅의 적이 달라지는데 일본의 사무라이 무사 로봇이 나와서 로보캅을 곤경에 빠트리는 것이 3편에 나온걸로 기억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미국인들이 당시 소니를 중심으로 거세게 미국 시장을 점령하고 있던 강해만 가는 일본에 대한 두려움이 깔려 있다는 교수님의 해설을 들은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번 로보캅 2014는 인기를 끄는데는 실패했고, 더군다가 막판에는 겨울왕국에 묻혀서 존재감도 거의 없었다. 스토리 뼈대도 변한것이 없다. 어떻게 보면 전작의 리메이크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거의 죽다가 기계인간으로 되 살아난 경찰 알렉스 머피가 자신이 여전히 인간이라고 주장하다가, 데넷 박사가 그의 남아 있는 모습을 수트를 하나하나 분해하면서 보여주자 머피는 눈물을 흘리는데 이 대목에서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영화는 액션이 아니라 어떻게 보면 철학문제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인간으로서 남아 있는 모습을 보면서 닭똥같은 눈물을 흘리는 머피의 모습이 보이는가? 확실히 로보캅은 액션영화이긴 하지만 사실은 다른 문제를 건드리고 있다. 인간 정체성의 문제이다. 이제 웨어러블 컴퓨팅이다 모다 하면서 이제 인간이 스스로 기계를 입는 시대가 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인공 신장 등 장기를 만들고 있고, 또 한편에서는 뇌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새로운 기기들 개발에 한창이다. 십년 이십년 후에 머피와 같은 사람이 탄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영화는 항상 시대를 한발 앞서 가니까. 나의 정체성은 내가 갖고 있는 육체에서 비롯될 것인가? 아니면 나의 기억에서 비롯될 것인가? 아니면 보이지 않는 나의 영혼인가?

MS Office 2013 워드에서 폰트가 흐리게 보이는 문제, 근본원인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8 전략의 실패

MS Office 2013을 깔아 쓸려고 보니까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한눈에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폰트가 뭉개진다. 모든 PC에서 발생하는 증상이 아니지만 상당히 많은 경우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Office 2010등 하위버전에서는 전혀 생기지 않던 문제가 어이없게도 2013 버전에서는 발생하고 있다. 구글링을 해 보면 영문권 사용자들도 비슷한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blurry fonts in ms office word 2013)    원인에 대해서 하드웨어 가속기를 사용하지 않토록 옵션을 끄라고 한다던가.. 몇가지 해결책을 제시하지만 해결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한국 마소에도 동일한 문제로 문의한 회사가 있는데 결국 시원한 답은 없다. http://answers.microsoft.com/ko-kr/office/forum/office_2013_release-outlook/outlook-2013-%EB%A7%91%EC%9D%80-%EA%B3%A0%EB%94%95/e57d44bd-1c2f-4693-bfb4-88c5d6531f0f 필자의 PC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는 윈도우 8과 메트로 앱 등을 개발하면서, 오피스 2013에서는 그래픽 렌더링 엔진을 과거와 다른 것을 쓰는 것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Office 프로그램 중 유독 워드와 아웃룩(워드를 메일 리더로 쓰는..)에서만 문제가 발생한다. 근본적인 이유는 마소에서 밝히지 않으니 알수는 없지만, 윈도우 8과 메트로 앱 개발의 삽질의 결과인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이런 문제들은 기업의 잘못된 전략과 이에 따른 제품 개발이 얼마나 큰 피해를 가져오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만약 이 제품이 소프트웨어가 아니고 자동차였다고 상상해보라. 회사 문 닫는다.... 마소는 오랜 독점 덕에 이런 문제가 생겨도 다음에 고치면 그만인 배부른 회사가 되었지만 말이다. 어째든 이 문제의 해결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