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책꽂이에서 한 권의 책을 뽑아 읽었다. 그리고 그 책을 꽂아두었다. 그러나 나는 이미 조금 전의 내가 아니다.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한 앙드레 지드의 말이다. 한국 사회에서도 인문학 열풍이 불어 닥쳤다. 스티브잡스가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당연히 인문학은 매우 중요하다.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그런데 왜 중요한 걸가? 필자는 공대생이다. 학창시절 사실 인문학의 필요성을 그렇게 많이 느끼지 못했다.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고, 밀려오는 전공 과목 리포트 하느라 다른 것에 관심을 두지 못했다. 그런데 선배 중에 학교에서 유명한 사람이 있었다. 철학과라고 기억하는데, 머리 끝에서부터 발 끝까지 온통 청색 차림이었다. 운동화는 말할 것도 없 고 속 내의도 청색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우리는 모두 그를 '청도사'라고 불렀는데 복장 뿐만 아니라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기인이었다. 그 선배 분에게는 죄송한 말씀이지만 우리는 약간은 사이코 취급하였다. 인문학 이야기를 다시하면, 제품과 서비스에 인문학 적인 감성을 녹이기 위해서 인문학이 중요하다는 목소 리가 여기저기서 나온다. 사람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어떻게 사람들에게 호소하는 매력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냐는 말이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필자 개인적으로는 개발자에게는 좀 더 근본적으로 인문학을 고민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고 본다. 우선, IT 업계에서 짧지 않은 직장 생활을 하면서 본 선배들과 동료들의 모습에서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 체로 두 가지 특징을 갖고 있었다. 첫째로는 자신의 일에 대한 전문성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프로그래머가 자신의 일에 대한 전문성과 자존심 이 없으면 시체 아닌가. 하지만 전문성의 또 다른 얼굴은 좁음이다. 자기가 하고 있는 일 이외에는 다른 일 들은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두번째는 매우 꼼꼼하다. 앞뒤 다 재고 해야 한다. 프로그래밍 하다 보면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따져서 에러 없이 프로그램이 돌아가야 하니